본문 바로가기
부자기술/KB주간시계열

[25.6.16 기준] KB주간 시계열 분석 - 송파구 올해 들어 최대폭 상승

by 부기100 2025. 6.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선한 부자기술자가 되기 위한 부기입니다
 
 
송파구는  토지거래허가구역임에도 불구하고 매매가격이 멈추지 않고 상승하고 있습니다

재건축 이슈화로 더욱 가속화가 되는 것 같습니다

 
서울 집값, 강남3구·마용성 등 '한강벨트' 오름세 뚜렷 :: 공감언론 뉴시스 ::

 

서울 집값, 강남3구·마용성 등 '한강벨트' 오름세 뚜렷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6월 셋째 주 서울 집값이 20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를 중심으로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한강벨트'의 상승곡선이 가팔라진

www.newsis.com

 

 

6월 세째주 주간시계열을 분석해 봅니다
 

 

 

 

매매 상승/하락 TOP3

 

  • 금주 상승 TOP 3 : 송파구, 강남구, 성동구 / 전년말대비 상승 TOP 3 : 강남구, 서초구, 과천
  • 금주 하락 TOP 3 : 대구 북구, 부산 사상구, 경산 / 전년말대비 하락 TOP 3 : 거제, 이천, 평택

송파구의 매매가격 상승률은 전 주 대비 0.99% 상승하였으며,

매수대기자는 지속적으로 있지만 거래 가능한 매물이 부족해 가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재건축 대상 단지나 랜드마크 단지들은 매물이 거의 없고 매수세가 송파구 전역으로

퍼지고 있다

 

전세 상승/하락 TOP3

 

  • 금주 상승 TOP 3 : 과천, 강동구, 송파구 / 전년말대비 상승 TOP 3 : 과천, 구리, 부산 동구
  • 금주 하락 TOP 3 : 광명, 대구 남구, 대구 북구 / 전년말대비 하락 TOP 3 : 광명, 대전 중구, 대전 동구

강동구의 전세 상승이 전 주 대비 0.52%로 상승세에 있다

매매와 전세 모두 동반 상승하고 있다

신축 대단지가 밀집한 고덕동과 상일동 외에도 명일동과 둔촌동의 구축아파트 전세가격도 강세이다

 

아파트 매매가격 주간변동률

 

서울 아파트값 21주 연속 오름세, 송파구 올해 들어 최대폭 상승

– 전국 매매 0.06%, 서울 0.40%, 수도권 0.15%, 5개 광역시 -0.04%

– 상승률 상위 송파구 0.99%, 강남구 0.93%, 성동구 0.79% 순

– 서울 매수우위지수 95.1, 강남11개구 104.5 기록

세종시의 상승세가 줄어든 듯 보이지만 서울의 상승세가 워낙 막강해서 비교되지만

상승력은 아직 유지되고 있어요

 

 

아파트 전세가격 주간 변동률

 

 

[전세 전국] 수도권 상승세, 5개 광역시 보합

 
 
 
서울 구별 매매/전세
 
 

[매매 서울] 서울 올들어 최고 상승률, 송파구 6주 연속 상승폭 확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40% 오르면서 21주 연속 상승했다

송파구(0.99%), 강남구(0.93%), 성동구(0.79%), 양천구(0.63%), 강동구(0.62%)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전세 서울] 19주 연속 상승, 강동·송파구 전셋값 강세

서울(0.12%) 아파트 전세가격은 19주 연속 상승했다.

강동구(0.52%), 송파구(0.3%), 중랑구(0.25%), 도봉구(0.22%), 중구(0.21%) 등이 상승했다

 
 경기.인천 매매/전세
 
 

[매매 인천·경기] 경기 4주 연속 오름세, 인천 상승 전환

 

경기 아파트 매매가격은 0.06% 올랐다

1기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호재지역인 성남시 분당구와 재건축 이주가 진행 중인 과천 지역 아파트값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세 인천·경기] 경기 21주째 오름세, 인천 5주 연속 상승

 

 

수도권 및 5개 광역시 매수우위지수

 

【부동산 심리지수】

 

[매수우위지수] 서울 10주 연속 상승, 강남11개구 ‘매수자 많음’ 비중 높아져

 

전국 매수우위지수는 42.7로 전주(38.6) 대비 4.1p 상승했다.

기준점 100미만의 '매도자 많음'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

*** 매수우위지수 = 100 + "매수자 많음" 비중 - "매도자 많음" 비중 (조사 항목: 매수자 많음, 비슷함, 매도자 많음)

매수우위지수는 0~200 범위 이내이며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가 많다'를, 100 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를 의미

 
반응형